본문 바로가기

두뇌건강

수원강박증 병원 어디에서

 

수원강박증 병원의 감정표현불능증내 용: 감정표현불능증은 기존 연구에서 많은 신체질환 및 정신장애 뿐아니라 강박와의 연관성도 제시되었다. 이에 국내에서 표준화된TAS-20K (Korean version of the 20 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를이용하여 강박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감정표현불능증과 사회인구학적인 요인, 강박양상, 불안, 우울 수준과의연관성을 알아보고, 정상 대조군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감정표현불능증과 수원강박증 병원의 증상차원과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강박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보다 강박양상, 불안, 우울, TAS-20K 총점및 하위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강박 환자에서 불안과우울 척도는 TAS-20K 총점 및 요인 1(느낌을 잘 알지 못함), 요인2(느낌을 잘 표현하지 못함)와 연관이 있었다. Y-BOCS (Yale-BrownObsessive-Compulsive Scale) 총점 및 강박사고 점수는 TAS-20K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TAS-20K 총점에대한 설명요인은 불안 척도와 발병 연령이었다. 수원강박증 병원의 증상차원들중에서 ‘성적/종교적 강박사고’ 차원만이 TAS-20K 총점과 유의한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강박증 환자는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높고, 불안이 감정표현불능증의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이었다. 또한감정표현불능증은 수원강박증 병원의 조기 발병과 관련이 많으며, ‘성적/종교적강박사고’ 차원과도 연관성이 높았다. 추후 반구조화된 감정표현불능증평가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며, 보다 많은 강박 환자들을 대상으로치료반응의 차이와 예후에 관한 전향적 연구 및 요인분석을 통한감정표현불능증과 강박의 증상차원과의 관련성 연구가 요망된다.핵심 되는 말 : 수원강박증 병원, 감정표현불능증, 불안, 발병 연령, 성적 강박사고,종교적 강박사고강박의 감정표현불능증<지도교수 김 찬 형>Ⅰ. 서론 강박증 병원(Obsessive-Compulsive Disorder)는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을손상시킬 정도로 심각한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장애이다.1 강박는 공포증, 우울증, 그리고 물질 남용장애에 이어네번째로 흔한 정신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은 1~3%정도이다.2강박환자는 증상으로 인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개인의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는데 있어 심각한곤란을 겪는다.3감정표현불능증은 개인이 경험한 감정이나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하지못하는 인지 정동장애를 나타내는 용어로 Sifneos에 의해 1972년 처음소개되었다.4 이 용어는 1970년대 초, 고전적 정신신체장애 환자의 관찰에근거하였으며, 이러한 임상적 관찰들 중 공통적인 특징을 다음과 같이개념화 하였다. 느낌을 확인하고 설명하기 어려우며, 정서적 각성 시신체감각과 느낌을 구별하지 못하며, 공상의 부재와 같은 상상 과정에제한이 있고, 구체적이고 외부지향적인 인지 양식을 가지는 특징을의미한다.5 이러한 특징은 감정을 처리하고 조절할 때의 인지 과정상의결손을 나타낸다.6 감정표현불능증은 다양한 의학적, 정신신체장애들에대해 처음 연구가 되었으나, 가장 수원강박증 병원 최근의 연구들을 통해서 감정표현불능증과 해리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병적 도박, 건강염려증과 식이장애,그리고 광범위한 정신 병리적 현상들과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7 따라서감정의 분화와 처리의 결함은 많은 정신질환들의 핵심적인 특징일 수있다.8 또한 건강한 성인에 있어서도 역시 감정표현불능증이 유의하게존재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9 최근에는 감정표현불능증이란 정신신체장애환자들만의 특징적인 인격 성향이 아니라 정서 조절의 장애와 관련된문제를 가지는 모든 수원강박증 병원 질환이나 환자의 공통적인 소견이며, 따라서감정표현불능증을 보이는 모든 신체적 질환 및 정신 질환들은 정서 조절장애로 재 개념화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10감정표현불능증의 개념이 소개된 1970년대 중반부터 감정표현불능증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척도들이 개발되었으며, 1985년에 Taylor등5의 자기보고형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이 합리적이고경험적인 척도구조를 이용한 방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등이 증명된바있다. 1993년 독일, 미국, 캐나다 젊은 성인을 표본으로 TAS에 대한요인분석을 한 결과, 삼요인 구조(three-factor structure)가 자료에 가장잘 부합하였다. 요인 1은 느낌을 알지 못하고(difficulty identifyingfeeling), 요인 2는 느낌을 잘 설명하지 못하며(difficulty describingfeelings), 요인 3은 외부 지향적 사고 유형(external oriented thinking)을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